2012. 7. 6. 02:11

최근 미국에서 에이즈가 있는지 없는지 집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키트가 약국판매승인이 되었다고 많은 언론에서 보도되었다.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자면 이름은 OraQuick이라고 된 것 같은데, 우리 입의 침을 면봉으로 채취해서 진단키트에 넣으면 침안에 있는 항체를 약 20-40분후에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이 키트는 HIV-1과 HIV-2 모두 반응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임상실험에서는 12명중 1명에서 위음성 (실제로 에이즈가 있는데 OraQuick으로 검사했을 때 음성반응이 나오는 경우)이 있을 수 있고, 5000명중 1명에게서 위양성 (실제로 에이즈가 없는데 OraQuick으로 검사했을때 양성반응이 나오는 경우)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by Timmy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일반적으로 의학에서 선별검사로 쓰일만한 검사방법으로 하기에는 위양성과 위음성의 비율이 너무 약하지만 미국 FDA에서는 전원 찬성으로 OraQuick이 약국판매용으로 승인하였다고 한다.
그럼 왜 승인했을까? 미국은 에이즈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나라로 아마 미국내 공식적으로는 120만명이 에이즈에 감염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중 약 20%는 자신이 에이즈에 걸려 있는지 모른다고 한다. 그래서 미국 FDA에서는 이런상황을 조금이라도 극복해보고자 에이즈확인을 위해 병원에서 진찰받는 것을 꺼려하는 사람들에게 다른 방법을 추가하기 위해서 승인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OraQuick은 OraSure Technologies에서 만드는데 미국에서 올해 10월달부터 약국에서 판매된다고 한다. 가격은 따로 정해지지 않았지만 아마 60불 이하로 책정될것이라고 그 회사 관계자는 5월에 언급한적은 있다.

 

아마도 이것이 미국에서 판매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인터넷으로 많은 사람들이 주문하여 한번쯤은 사용해보지 않을까? 실제로 우리나라도 에이즈를 걱정해서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 와서 검사를 하는데, 그보다는 걱정은 되지만 자신의 신분이 노출될까봐 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명심해야 하는 것은 OraQuick 검사도 침속에 있는 항체를 검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HIV에 노출되고 나서 항체가 발생할때까지 걸리는 시간, 즉 3개월이후에 시행하는 것이 좀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이글과 연관되어 읽어볼 이전 블로그 글들>

 

2010/07/21 - HIV 전파를 예방하는 여성용 젤이 나왔습니다.

2010/06/13 - 월드컵때 콘돔을 정확하게 사용하여 모두의 바람을 지킵시다.

2010/05/11 - 인터넷으로 만난 사람과 성관계시 성병의 위험은?

2009/04/14 - 포경수술과 HIV 감염에 대한 미국질병관리본부의 발표

2009/03/14 - 정상적인 성관계시 에이즈의 감염확률은 어느정도일까?

2008/10/10 - 건강검진에 포함된 HIV 검사에 대한 필요성과 문제점들..

2008/06/29 - 레즈비언일때 HIV가 전염이 될까?

2008/06/28 - 우리나라 에이즈의 발생현황


Posted by 두빵
2012. 5. 29. 03:05

조루(premature ejaculation)의 정의가 시대별로 계속 변해왔기 때문에 조루의 정의에 대해서 많이 혼동될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한 언론사의 기사요청도 있고 해서 마침 글을 쓰게 되었다.

 

One of the first things you need to re-add: penis
One of the first things you need to re-add: penis by quinn.anya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이전의 조루의 정의로 언급되는 것으로는 2000년도에 만들어진 정신과영역의 DSM-IV-TR 혹은 1994년도에 만들어진 ICD-10 을 많이 언급하고 있다.

DMS-IV-TR의 조루에 대한 정의는 '자신이 원하기 전 혹은 삽입직전에 반복적으로 지속되는 사정으로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끼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로 하였고, ICD-10은 '삽입직전이나 삽입후 15초 이내에 사정할 정도로 사정이 조절안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일반사람들이 흔히들 생각하는 시간적인 개념으로서의 조루는 의료계에서는 생각보다 늦게 정의되었는데, 질 내부로 삽입하면서부터 사정때까지 걸리는 시간, 즉 IELT (intravaginal ejaculation latency time) 로 개념정리를 하면서부터 2005년에 IELT가 1분 이내를 명확히 조루라고 하고, 1-1.5분 사이의 IELT는 넓은 의미의 조루라고 이야기하였다.


그러다가 최근 마지막으로 2008년에 세계성의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sexual medicine)에서 조루를 정의하기를 ‘항상 혹은 거의 항상 삽입직전이나 삽입후 1분 이내에 사정함으로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대인관계에 지장을 일으키고 성관계를 하지 못하는 상황’ 으로 하였다.

 

조루에 대해서 이렇듯 많은 논란으로 인해서 조루의 정의가 변했기 때문에 이전에 조루는 남성의 30%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은 성적인 질환이었지만, 2008년에 제정된 세계성의학회 정의를 사용한다면 남성의 약 1-3%정도로 줄어든다고 한다.

 

근데 실제로 진료실에서 보면 많은 남성들이 조루라고 호소하면서 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을 보통 2가지 정도로 나누어 생각해 볼수가 있다.


첫번째로는 조루를 호소하는 환자에게 가만히 물어보면 질 삽입 후 약 5-10분정도인 경우로 시간적인 조루의 정의로는 아니지만 스스로 생각하기로 조루라고 판단하는 경우이다. (premature-like ejaculatory dysfunction)

 아마도 생각하기로는 음성적으로 많이 보고 있는 포르노 영화에서 장기간 사정하지 않는 장면이 각인되어 그러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런 영화들은 대부분 과장된 것으로 실제적인 성관계의 상황이 아니다.

 

두번째로는 평소 3-6분정도의 질삽입후 사정때까지의 시간으로 성관계를 잘 하다가, 심적인 스트레스를 받거나 성파트너가 바뀜으로 인해서 갑자기 일시적으로 질삽입후 사정때까지의 시간이 1-2분 이내로 줄어든 경우이다. (natural variable premature ejaculation)

이런 경우는 사정때까지의 시간이 조루의 시간적 정의에 부합되다가도 갑자기 다시 정상적으로 3-6분 이후로 늘어나는 경우인데, 이것은 조루가 갑자기 되는 것이 아니라 정상적인 성적 반응중 하나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적정한 성관계 시간에 대해서 의학적으로는 명확하게 알려진 것은 없지만, 성트러블이 있을 때 치료를 하는 치료심리사가 느끼는 남성의 질삽입후 사정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7-10분정도로 생각한다고 하는데, 실제로 여러나라에서 성관계시 질삽입후 사정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5.4분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나라마다 다 다르다.

또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질삽입후 사정까지 걸리는 시간이 조금씩 줄어드는데, 30세이전에는 평균 약 6.5분이었다가 50세 이후에는 평균 약 4.3분이며, 콘돔을 착용하거나 포경수술 유무와는 질삽입후 사정까지의 시간과 상관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글과 연관되어 읽어볼 이전 블로그 글들>

 

2010/10/06 - 조루의 대명사인 토끼가 왜 플레이보이의 로고일까? 

2010/06/04 - 조루증을 해결하기 위해 귀두에 바르는 약. 

2009/10/27 - 조루 진단표가 조루를 얼마나 진단할 수 있을까? 

2009/06/18 - "환상속의 그대"에 지루가 있다. 

2009/02/11 - 먹는 조루치료제가 미국에서 승인 예정입니다. 

2008/11/24 - 정상적인 남자의 사정시간은 얼마일까?

 

[참고문헌] Althof SE, Abdo CH, Dean J, et al. International Society for Sexual Medicine's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emature ejaculation. J Sex Med 2010 Sep;7(9):2947-69

 

 

Posted by 두빵
2012. 5. 24. 21:59

며칠 전 미국의 미연방예방의료조사위원회(USPSTF,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에서 연령에 관계없이 건강한 남성에게서는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를 하지 말라고 하는 D 등급을 매긴 것 때문에 미국에서는 난리가 난 듯 하다. 특히나 이번 주가 미국비뇨기과학회가 열리고 있는 기간이기 때문에 아마도 거기에 있는 비뇨기과의사들이 이 소식을 접했을 때 참 황당한 느낌을 받았을 수도 있다.

 

 

275 | Exam
275 | Exam by The Doctr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미연방예방의료조사위원회(USPSTF)에서는 근거에 따라 권고하는 등급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A (강한 권고, Net benefit is substantial), B (권고, Net benefit is moderate), C (권고도 비권고도 아님, net benefit is small), D (비권고, no net benefit or harms outweigh the benefit), I (권고 또는 비권고 근거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 로 분류하는 체계이다.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는 원래 USPSTF grade C에 속해 있었는데, 며칠전 D로 분류되면서 ‘더 이상 하지 마라’라는 권고를 내린 것이다.

 

미연방예방의료조사위원회(USPSTF)는 미국 보건부 산하의 독립적인 국가위원회이고 각 분야의 16명 전문가가 자발적인 참여(무보수 4년?)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USPSTF에서 밝히고 있지만, 정부로부터 연구비를 전액 지원받고 있어 사실상 정부기관이라고 알려져 있다. 2009년 11월에도 USPSTF에서는 50세 이하 여성은 유방암검진중 유방X선검사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해서 한동안 논란을 일으킨 곳이기도 하다.

 

간단한 피검사인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를 남성에게 하지 말라고 하니 좀 황당할 수 있지만, 차근차근 살펴보자.

 

우선 분명히 해두어야 하는 것은, 미연방예방의료조사위원회(USPSTF)가 문제삼고 있는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는 건강검진에 포함된 검사만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남성의 수많은 건강검진에 포함되어 있는 피검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남성이 만일 비뇨기과적인 문제, 특히 소변을 보기 힘든 배뇨곤란을 가지고 오는 남성에게 시행하는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비뇨기과적인 문제를 가지고 왔을 때 당연히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를 하는 것은 분명히 해야 하는 것이며, 이것은 변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건강한 남성에게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건강검진에 포함된 전립선암특이항원검사(PSA)는 좀 다르다. 예를 들어보자.


만일 건강한 남성이 일반적으로 행해진 건강검진에서 전립선암특이항원검사(PSA)가 4ng/ml 이상이라고 하면 전립선암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립선조직검사를 시행해보자고 들을 것이다. 이때 그 남성이 받는 충격은 꽤 클수 있다. 내가 전립선암을 가질수도 있다고 하면 얼마나 놀랄 것인가? 그래서 전립선조직검사를 받게 되면 이에 대한 조직검사 합병증이 발병할 수도 있다. 이중 대부분은 전립선암이 아니라는 판정을 받겠지만, 만일 전립선암이라고 진단된다면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때 치료에 대한 합병증 (발기부전이나 요실금)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전립선암 수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했을 때 과연 PSA를 선별검사해서 전립선암의 사망률을 낮춘다고 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서 아직 논란이 많지만 미국과 유럽에서 대규모로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이전 블로그 글에서도 잠시 언급했는데, 미연방예방의료조사위원회(USPSTF)에서는 미국의 연구결과는 전혀 사망률이 줄어들지 않았고, 유럽의 결과에서도 PSA 검사를 대표적으로 하는 55세~69세의 남성에게서조차 최장 14년이 지나도 겨우 20%정도 사망률이 감소된 결과는 너무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고 한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건강검진등 선별검사로 PSA 검사를 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전립선암사망률 감소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수준이고, PSA 검사이후 일련의 시술인 전립선조직검사 및 수술에 대한 부작용을 고려해봤을 때 차라리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을 미연방예방의료조사위원회(USPSTF)에서는 한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한 반박은 여러가지가 있긴 하지만, 이전에 유방암선별검사에서도 봤듯이 비뇨기과학회에서 아무리 반박을 해도 변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비뇨기과학회에서 추후 연구에서 PSA가 전립선암의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라는 추가연구가 발표되지 않는 이상 말이다.


 

<이글과 연관되어 읽어볼 이전 블로그 글들>

 

2010/10/13 - 전립선조직검사후에 부작용은 무엇이 있을까?

2010/07/28 - 전립선검사에 PSA가 만능일까?

2009/06/09 - 40세 이상의 남성은 전립선암수치검사(PSA)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2009/03/30 - 전립선암 검사시 전립선특이항원(PSA)검사가 만능일까?

2009/03/24 - 전립선암피검사(PSA)와 전립선암 사망률에 대해

 

Posted by 두빵
2012. 5. 18. 19:16

며칠전 불임을 전공하는 비뇨기과 선배와 이야기도중에 이야기거리가 있어서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었다. 그 선배의 이야기 요지는 인공수정의 기술이 계속 발달되어오면서 옛날에는 유전적으로 이상이 있어서 태어나지 못하는 남성의 경우에도 인공수정으로 태어나면서, 아버지의 유전적인 불임인자가 아들에게 계속 전해질 수 있다는 거였다.

 

불임은 이전에도 이야기했지만 남성에게 원인이 있을 경우가 약 절반정도 된다고 알려져 있다. 여성의 경우는 많은 부분이 후천전 원인인 경우가 꽤 되지만, 남성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불임의 경우는 선천적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고 한다.

 

남성의 불임은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가장 많은 원인으로 차지하고 있는 건 잘 알려져 있다시피 정계정맥류(varicocele)이다. 이것은 정계정맥류 제거 수술로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언급하고자 하는 내용은 남성의 유전적인 이상소견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이다. 유전적인 이상이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클라인펠터 증후군 (XXY, Klinefelter’s syndrome) 이거나 칼만 증후군(Kallman syndrome) 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 성염색체의 일종인 Y chromosome 에서 일어나는 microdeletion이 급부상하고 있다.

 

 

   (Y 염색체 구조. AZFa, b, c가 Yq에 보이고 있다. 출처 : http://humupd.oxfordjournals.org/content/11/4/337/F2.expansion)

 

Y chromosome의 microdeletion은 남성의 정관에 특별한 이상소견이 없는데 정자가 거의 없는 경우에 가장 많이 발견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microdeletion 되는 부위에 따라 AZF(azoospermia factor) a, AZFb, AZFc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AZFc가 가장 많은 원인으로 전체 무정자증(azoospermia) 환자의 13%를 차지한다고 한다 (참고문헌 1)

 

Y chromosome microdeletion 을 가지고 있는 남성환자는 정상적인 부부생활로는 아이를 낳을 수 없는 불임환자가 되는데, 요새는 인공수정기술이 발달되어 남성의 고환을 일부 떼내서 거기의 정자를 찾아서 직접 난자와 수정시켜주는 ICSI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을 사용하면 약 60% 에서 아기를 낳을 수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2)

 

그럼 Y chromosome microdeletion 을 가진 아버지에게서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아들은 어떻게 될까?

물론 이것도 하나의 유전이기 때문에 당연히 아들도 Y chromosome microdeletion을 가질것이라고 충분히 예상된다. 실제로 AZFc에 microdeletion을 가지고 있는 264명의 아버지가 인공수정 후 그 자식들에게 AZFc microdeletion이 있는지 연구한 결과가 있는데 7.2%가 그 자식들에게도 같은 유전적 결함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참고문헌 3)
즉 일정부분은 이런 결함이 계속 자식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남성으로 태어난 자식들도 나중에 남성불임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그럼 이런 유전적인 전달을 피하기 위해 한가지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Y chromosome microdeletion을 가지고 있는 아버지가 인공수정으로 여아를 생각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여아는 Y 염색체가 없기 때문에 이런 유전적인 전달을 피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인공수정 전에 preimplantation genetic test 라는 수정전 유전자검사를 통해서 여아를 수정하도록 하면 이런 전달은 피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긴 하지만, 이 또한 윤리적인 문제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어떻게 해결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것이다.

 

 

<이글과 연관되어 읽어볼 이전 블로그 글들>

 

2011/12/26 - 항정자항체(antisperm antibody)에 대한 괴담은 거짓입니다.

2011/06/11 - 남성 피임법의 다양한 종류들

2010/11/20 - 정관수술을 해도 정액은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2009/12/02 - 무정자증 남성은 임신이 불가능할까?

2009/11/09 - 특별한 이상 없는 불임 부부는 언제 불임시술을 시행해야 할까?

2009/07/17 - 수영장에 있는 정자로 임신이 가능할까?

2009/03/28 - 정관수술후 정관복원술을 하면 임신가능성은 어느정도일까?

2008/09/28 - 성병일때 불임의 가능성은 어느정도일까?

2008/09/13 - 정계정맥류의 최신지견

2008/05/26 - 추후 아기를 가질 의향이 있다면 암 치료전에 정자를 냉동보관하세요.

2008/04/28 - 임신이 안되는 정상부부의 부부관계 계획은?


[참고문헌]
1. Sadeghi-Nejad H, Oates RD. The Y chromosome and male infertility. Curr Opin Urol 2008 Nov;18(6):628-32.
2. Simoni M, Tüttelmann F, Gromoll J, et al. Clinical consequences of microdeletions of the Y chromosome: the extended Münster experience. Reprod Biomed Online 2008 Feb;16(2):289-303.
3. Mau Kai C, Juul A, McElreavey K, et al. Sons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on techniques inherit deletions in the azoospermia factor (AZF) region of the Y chromosome and the DAZ gene copy number. Hum Reprod. 2008 Jul;23(7):1669-78.

Posted by 두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