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1. 18. 03:48

최근에 뜨는 말중에 하나는 루저(loser)라는 말일 것 같다. 다들 아시다시피 키가 180cm 이하면 루저라고 했던가....그 말을 했던 당사자는 키가 어느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키가 180cm 이상인 남성을 그리 많이 보지는 못했던 것 같다. 아마도 평균남성키는 그보다는 낮을 것이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180cm에서 숨어있는 1인치때문에 나역시 루저에 속하기 때문이다....^.^

근데, 서있을때는 당연히 머리가 가장 위쪽이지만 남성인 경우 누워있을때는 또 다른 머리(?)에서부터의 키가 있다. 다들 아시다시피 음경의 길이이다. 이것의 루저는 어느정도일까?

루저라는 의미가 실제 길이에 대한 문제일 수도 있고, 루저의 당사자처럼 여성의 입장에서 보는 문제일수도 있겠다.

실제로 연구로 발표된 우리나라 성인의 음경길이는 보통 10cm 전후이다. (참고 1,2) 발기가 되었을때 음경길이가 10cm정도만 되면 우리나라 평균인 것이다. 발기했을때 7~8cm 이상이라면 단순한 길이로는 정상이라는 말이다.

그럼 여성의 입장에서 보면 어떨까?

원래 여성의 질은 수축과 팽장이 굉장하기 때문에 각각의 음경사이즈에 잘 맞도록 적응을 한다. (참고 3) 질의 깊이는 보통 10cm로 이루어져 있지만 음경이 작으면 작게 줄어들고, 음경이 크면 크게 늘어난다. 따라서 질과 맞지 않는 음경은 없다.

(참고문헌 3에 나오는 도표.
대략적으로 1/3 여성에서 음경의 길이와 굵기가 성만족도에 중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여성의 만족도는 좀 다르다.
실제로 여성들에게 조사했을때 20%만 성파트너의 음경의 길이가 여성의 만족도에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31%만 성파트너의 음경의 굵기가 중요하다고 답했다고 한다. (참고 3) 나머지 2/3의 여성들은 음경과는 전혀 상관없다고 답했다.

음경의 크기가 아무리 정상이라도 1/3 여성에게서는 만족도가 떨어지는 루저가 될 수 있겠다.
그러나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서로를 사랑하는 맘이 아닐까 한다.


참고문헌
1. Hwnag IS, et al. Study on Penile Length of Korean Young Adults with or without Circumcision. The Korean Journal of Urology 2005;46(6):621-625
2. Son H, et al. Studies on self-esteem of penile size in young Korean military men. Asian J Androl 2003;5(3):185-189
3. Francken AB, et al. What importance do women attribute to the size of the penis? Eur Urol 2002;42:426-431

Posted by 두빵
2009. 11. 9. 11:46
요새는 저출산으로 나도는 표어가 "아빠! 하나는 싫어요, 엄마! 저도 동생을 갖고 싶어요."라는 표어이지만, 몇년 전까지 "아들 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기르자." 뿐만 아니라 "하나씩만 낳아도 삼천리는 초만원"이라는 표어가 귀에 익숙했던 나에게는 가끔은 생소한 표현이다. 진료실에서 보면 어떤 사람은 셋을 낳아서 네번째는 도저히 못낳겠겠다고 정관수술을 하러 오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결혼한지 몇년이 지나도 애가 없다고 혹시 뭐가 잘못되었는지 검사하러 오는 사람을 볼때마다 세상이 공평한지, 불공평한지 간혹 헷갈릴때가 있다.

정관수술이야 수술을 하면 된다고 치고.....
애가 없다고 오는 분들에게 검사를 해보면 정상인 경우
"정상인데, 왜 애가 안생겨요?"
라고 묻는 말에는
"저도 애를 힘들게 가졌어요....좀 더 노력해보시면 좋은 결과 있을꺼에요"
라는 말밖에는 해주지 못할때 참 난감하다.

요새 보면 부부가 둘다 검사를 해봐도 정상인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 언제쯤 시술을 해서 임신에 대한 노력을 해야 되는지 궁금한 경우가 있다.

Emma Profile
Emma Profile by Joseph B James 저작자 표시비영리
<산전 초음파로 본 아기의 모습, 오른쪽이 아기 머리이고, 가운데 배가 보이고 있고, 왼쪽에
다리가 희미하게 보인다.>


보통 이런 경우를 unexplained infertility라고 이야기하기도 하는데, 부부가 모든 검사를 다 시행했지만 특별한 원인은 없으면서 2년간 애가 없는 경우로 정의한다. (참고 1) 의학적인 검사가 다 정상이므로 특별한 원인은 없다고 하지만, 이때도 있을 수 있는 몇몇 가능성 있는 설들이 있지만, 내용은 무척 어려우며, 이에 대해서 잘 아는 것도 아니므로 우선 넘어가자.

특별히 원인이 없는 불임( unexplained infertility) 의 경우 치료없이 임신이 될 확률은 그럼 어떨까?

몇가지 연구들이 있는데, 보면,
첫 불임클리닉 방문후 특별한 치료를 시작하지 않고 약 2-3년이내에 임신할 경우는 약 30-80%정도라고 한다.(참고 2)
또한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5년간 계속 지켜봤을때 임신율은 80%였다고 한다. (참고3)
마지막으로 다른 연구에서 9년간 지켜본 한 연구에 의하면 64% 환자가 임신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참고 4)

그럼 이런 불임이 있을때 언제쯤 불임에 대한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까?

한 연구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따져 봤을때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하라면 약 3년정도는 지켜봤다가 계속 임신이 안되는 경우에 불임에 대한 시술을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으며,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이라면 그보다 짧은 기간동안 기다려 본뒤에 불임에 대한 시술을 하면 된다고 한다. (참고 1)

결혼 후 1년동안 기다렸는데, 애기가 안생긴다고 초초해 하지 말자.
여유를 가지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다 보면 언젠가 생기지 않을까.....
정 안생기더라도 요새는 불임에 대한 시술이 워낙 많이 발전하였기 때문에 아기를 못가질 경우는 거의 없다.



[참고문헌]
1. Forti G, et al. Clinical review 100: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infertile couple. J Clin Endocrinol Metab 1998;83:4177–4188
2. Hull MGR, et al. Population study on causes, treatment, and outcome of infertility. Br Med J 1985;304:1693–1697
3. Randolph JF Jr. Unexplained infertility. Clin Obstet Gynecol 2000;43:897–901
4. Jaffe SB, Jewelewicz R. The basic infertility investigation. Fertil Steril 1991;56:599–613
Posted by 두빵
2009. 11. 5. 23:18
어제 드디어 주문하고 고대하던 "Sorry Works (쏘리웍스) - 의료분쟁 해결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는 책을 받아 읽어보고야 말았다.

안그래도 더 랩 에이취의 김호 대표님의 강의를 한번 들었던 터라 개인적으로 이책의 내용에 대해서 상당히 궁금해 하던 차에 책이 나왔다는 소식에 바로 인터넷에서 주문을 했는데...웬걸....재고가 없어서 한 4-5일은 그냥 허송세월 하다가 그저께 배송한다는 연락이 와서 어제 받아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선 책의 내용은 그리 어려움은 없었다. 개인적으로 읽으면서 느끼는 생각은 미묘한 느낌을 어떻하든 우리나라의 어감에 잘 맞도록 풀어쓰려고 노력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김호 대표님의 노력에 대해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우선....개인적으로 찬성하는 부분.

지금까지 운이 좋아서인지는 모르지만, 나의 가치관 역시 진실된 태도를 대하면 언젠가는 보상받는다는 그런 신념으로 인생을 살아온 경험인지는 모르지만, '쏘리웍스'가 말하고자 하는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찬성한다.
또한 개인적으로 개인병원에서 활동하면서 많은 환자와 접하면서 내 나름대로의 추상적인 생각들 (환자에게 진실된 공감을 표시하면 환자들도 의사를 이해한다는 점들...)을 구체적인 항목으로 정리해주었다는 생각이다.

물론 '쏘리웍스'가 주장하고 있는 것은 지금 현실적인 문제에서 조금만 더 서로에게 진실되면 의료소송을 충분히 (이 책에서는 절반이상) 줄일 수 있다는 것이고 나 역시 이에 대해서 충분히 공감한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과연 그럴까....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우선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것중의 하나는 '쏘리웍스'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 의사는 개인병원이 아닌 대형병원에 속해 있어 병원 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큰 규모의 병원이어야 하며, 의사가 의료사고를 대비해 보험을 다 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예를 든 병원 모두 미국에서 큰 대학병원인 하버드, 스탠포드, 미시간 대학병원이었다. 즉 의사가 '쏘리웍스'를 시행하도록 해줄 수 있는 병원내 여러 직원과 그 의사의 진료를 대신할 수 있는 다른 의사가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진정어린 사과를 위해서는 책임있는 보상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그런 보상을 하기 위한 전재조건은 보험을 들어야 한다. 미국이야 가능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의사가 아직까지 의료사고에 대한 보험을 드는 경우가 좀 드문 경우에 속한다. (난 의료배상보험에 현재 가입중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대학병원은 그렇다 치고, 나 같은 개인병원의사는 병원의 모든 일 (병원 운영, 진료, 병원시설의 수리 등등) 을 혼자서 다 처리한다고 바쁜 와중에 '쏘리웍스'를 시행하기 위한 시간적, 물리적인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또 지적하고 싶은 것중의 하나는 앞서 잠시 언급했는데, 진정어린 사과를 위한 보상을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미국의 의료수가는 안그래도 소송에 대한 비용이 어느정도 포함되어 있다는데, 우리나라의 의료수가는 안그래도 원가보다 못하다는 소리를 듣고 있는데, 과연 우리나라에서 진정어린 사과를 위한 보상을 할정도의 비용이 감당될까?  


하지만 위와 같은 의문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 의사라면 한번쯤 읽어볼만한 책으로 생각된다. 어짜피 의술에는 합병증이 동반되기 마련인데, 이에 대해 의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또 다른 한가지 바람직한 방법을 가르쳐 주고 있기 때문이다.

p.s. 원래 책 내용의 일부를 좀 인용하려고 했으나, 책 마지막에 보니 "본사의 서면허락없이는 어떠한 형태나 수단으로도 이 책의 내용을 이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라는 말 덕분에, 책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다. 안그래도 소송많은 세상에서 +1을 더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Posted by 두빵
2009. 11. 3. 22:47
이전 블로그 글에서도 밝혔지만, 나역시 커피라면 하루에 몇잔을 마실만큼 커피를 좋아한다. 그중에 소위 넣을 것 다 넣는 '다방커피'를 무척 좋아하고, 두번째로는 커피믹스를 좋아한다. 가끔 이전에는 북적이지 않으며 한잔을 먹을때도 여유로움과 분위기를 즐길수 있었던 '글로리아진스'를 무척 좋아했었는데, 나의 취향이 독특한지, 몇년전 마지막으로 압구정 현대백화점 지하의 글로리아진스를 마지막으로 요새는 글로리아진스 가게를 한번도 보지 못해 아쉬울 뿐이다. (별다방과 콩다방은 너무 상업적이고 소란스러워서 원.....)

나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는 바이오매니아님의 최근 글에서 잘못 알려진 식생활 상식중에 '커피는 이뇨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있었다. 내용은 커피가 약간의 이뇨작용을 하지만 정기적으로 즐길 경우 간에 의해서 적응이 되므로 이뇨효과는 카페인이 아니라 커피의 양 문제라는 것이다.

솔직히 내가 보기에는 어느것을 주안점에 두느냐에 해당할 것 같다. 한 한가지 해석상의 문제점으로는 원문에는 분명 "not related to its caffeine content but to the size of the drink" 이고, 이를 정확히 말하자면 "카페인이 아니라"라는 말이 아니라, "커피에 있는 카페인 용량에 관련있는 것이 아니라, 마시는 커피의 양이 문제(즉 마시는 전체 카페인의 양)"이라고 난 생각한다.

실제로 그럼 논문상의 증거를 찾아보았다.

여러 논문을 종합하여 결론을 내린 review article이 있는데, 단 한가지 흠이 이 논문을 지원한 곳이 영국의 유명한 차회사인 PG Tips이라는 사실이다.(참고 1) 여기서 나온 한가지 도표를 인용하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와 같은데, 보면 약 250 ~300mg 이상의 카페인 용량이 있을때 이뇨작용을 한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이는 볶은 커피 한잔 (150ml)의 카페인 용량이 85mg이라고 할때 약 3-4잔정도가 기준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앞서 이야기한 "커피에 있는 카페인 용량에 관련있는 것이 아니라, 마시는 커피의 양이 문제(즉 마시는 전체 카페인의 양)"이라는 것에 어느정도 부합되지 않을까? 미신이라고 했던 것은 아마도 1-2잔의 커피는 이뇨작용이 없다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또 고려해야 할점으로는 카페인이 방광을 자극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변량은 비슷하더라도 방광자극때문에 좀 더 자주 소변을 봐야 하는 문제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전 나의 블로그 글 참고)
마지막으로 우리몸에서 커피의 카페인이 제거되는 반감기가 약 2.5 -4.5시간정도로 알고 있다. (참고 2) 그럼 그 시간 이내에 다시 커피를 마신다면 우리몸의 카페인 농도가 축척될 수 있으므로 약간은 다른 대답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렇든 저렇든지간에, 소변을 자주 보더라도 커피가 없는 생활은 나에게 무의미할 것 같다. 나폴레옹도 말하기를

"장기간의 진한 커피는 나를 항상 깨어있게 하고, 나를 따뜻하게 하며, 나에게 특별한 힘을 주고 즐거움이 동반된 고통도 준다. 나는 무감각하기 보다는 오히려 이러한 고통을 원한다.
(A strong long coffee keeeps me awake and warms me, giving me unusual strength, a suffering not free of pleasure. I would rather suffer than be insensitive.)"
라고 하지 않았던가.....

<이전 참고할 글>
2008/03/25 - 소변이 자주 마려울때 커피를 드시지 마세요.


<참고> 
1. Maughan RJ et al. Caffeine ingestion and fluid balance: a review. J Hum Nutr Dietet 2003;16:411-420

2. Massey LK. Caffeine and the elderly. Drugs Aging 1998;13:43-50
Posted by 두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