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학회에 대한 초록 준비로 한동안 블로그를 하지 못할 정도로 바쁜 나날을 보내다가 원하던 데이터가 안나와 상당히 우울한 날이다. 게다가 여성비뇨기과로 문을 여니 간혹 예기치 못한 환자들이 오는데, 그중 사후 피임약을 처방받기를 원하는 환자도 이중에 속한다.
오늘도 사후피임약을 원하는 젊은 여성환자가 물어보기를....
"사후피임약을 복용하면 괜찮죠?"
괜찮다는 말이 참 중의적으로 들린다. 임신이 안된다는 의미일까?
사실 우리나라에서 사후피임약으로 판매되고 있는 약이 노레보라는 약인데 원래 72시간 이내에 복용하도록 되어 있고, 한번 먹고 난뒤에 12시간 뒤에 다시 한번 더 먹는 형식이었다.
근데 이게 최근에 약이 바뀌어 '노레보원'이라는 약으로 바뀌었고 용량이 두배로 증가하여 72시간 내에 한번만 먹으면 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원래 미국에서는 Plan B라는 이름으로 팔리는 약인데, 이 약 이름을 처음에 들었을때 한참 웃었던 기억이 난다. 몇년전에 보았던 'Badboys 2'라는 영화에서 한 주인공이 계획이 틀어지자 임으로 plan B 를 외치곤 했던 기억이 있는 나로서는 'Plan B'가 약이라면 Plan A는 과연 무었이었을까?
...because sometimes Plan A just totally fails
(from jojo_1785 at flicker)
실제로 이 약을 가지고 연구한 것이 2002년도에 Lancet이라는 의학저널에 보고되었는데, 약을 12시간간격으로 2번 먹거나, 아니면 두배의 용량으로 한번 먹어도 임신이 된 환자는 각각 1.77%(24/1356), 1.47%(20/1356) 였다. (참고 1)
이것을 다시 실제로 임신이 되어야 하는데, 약을 먹고 임신이 되지 않을 확률을 계산하니
성관계후 3일이내에 약을 복용했을때는
12시간 간격으로 2번 먹는 약은 - 79%
2배의 용량으로 1번 먹는 약은 - 84%
성관계후 4-5일에 약을 복용했을때는
12시간 간격으로 2번 먹는 약은 - 60%
2배의 용량으로 1번 먹는 약은 - 63%
였다고 한다. (참고 1)
부작용은 보통 메스꺼움이나 구토등이 있는데 5.6%에서 발생된다고 하며, 2시간 이내에 구토를 했다면 약을 다시 먹어야 한다. 60%에서는 질 출혈도 일부 있다고 한다. (참고 2)
이 약의 금기는 WHO에서 정하기를 임신이 된 경우라는데, 임신이 되고 나서 이 약을 먹더라도 임신에 별 영향이 없고, 태아에도 별 영향이 없다고 한다.
앞서 이야기한 환자의 "괜찮죠?"라는 말은 글쎄...어디에 속할까....
임신이 안되겠죠라는 말일까.....
부작용이 없죠라는 말일까.....
혹 임신이 되더라도 태아에 별 영향이 없겠죠라는 말일까.....
물어보고 싶었는데, 진료실을 바삐 휙 나가는 바람에 궁금함만 남았다. 별칭으로 Morning after pill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하는데, 왜 그 환자는 오후에 왔을까?
참고문헌 :
1. von Hertzen H, et al. Low dose mifepristone and two regimens of levonorgestrel for
emergency contraception: A WHO multicentre randomized trial. Lancet 2002;360:1803–1810
2. Task Force on Postovulatory Methods of Fertility Regula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levonorgestrel versus the Yuzpe regimen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for
emergency contraception. Lancet 1998;352: 428–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