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6. 9. 02:17

지금까지 수많은 전립선암 환자를 보아왔는데, 그중 가장 젊은 나이의 환자는 43세였다. 당시 나는 이 환자를 보면서 굉장히 놀랐었다.
"잉? 50세 이상에서 전립선암이 생기는 것 아닌가?"

지금까지의 전립선암 검진을 위해서 전립선암수치, 즉 다시 말해서  PSA라는 수치를 검사하는 기간은 보통 50세 이상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즉 50세 이상부터는 매년 1년마다 한번식 전립선암 수치인 PSA를 검사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는데, 40에서 50세사이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검사를 권유하였다. 위의 저 젊은 환자의 경우에는 가족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지금 기억이 나진 않지만, 상당히 이른 나이에 전립선암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검사를 해서 그런 것일 것이다.

근데 이번에 최근 2009년 미국비뇨기과학회에서는 전립선암 가족력이 전혀 없는 건강한 40세 이상의 남성부터 정기적으로 전립선암수치, 즉 PSA를 매년 검사하도록 권장하였다. 물론 미국에서는 전립선암 발생률과 사망률이 남성암중에 1-2등을 달리고 있어, 이에 대해 엄청난 노력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그럴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도 미국 비뇨기과학회에서 발표되었던 가이드라인, 빨간색 네모란으로 표시된 곳을 보면 전립선암수치검사(PSA)를 건강한 40세 이상의 남성에서 해야 하는 것으로 나와있다.)

그러나 과연 우리나라에서는 50세 이상의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만 전립선암 수치검사, 즉 PSA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지금은 한 국회의원이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반대입장으로 국립암센터와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진행하던 중앙암등록사업이 좌초되었지만, 2002년까지의 데이터를 보면 비록 발생순위는 남성암중 6위를 차지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암이 단연 전립선암이었다. 아마 지금까지 조사를 했다면, 순위가 상당히 많이 올라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국중앙암등록사업 2002년도 보고서 슬라이드에 있는 자료, 보면 남성에서는 전립선암 발생 증가율이 가장 높다.)

또한 나의 은사님께서 발표한 연구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의 전립선암의 성질이 그리 녹록하지 않다는 것이다. 내가 근무한 병원에서 진단후 수술을 시행했던 600명이상의 전립선암 환자를 분석해보니 약 50%이상이 아주 나쁜 성질을 가진 전립선암이었다고 한다.

이런 결과를 비추어볼때 아마도 우리나라도 조만간 건강한 40세 이상의 남성들에게 전립선암수치검사 즉 PSA라는 검사를 매년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PSA가 단순히 높다는 것으로 전립선암을 진단할 수는 없다. PSA뿐만 아니라 그밖의 종합적인 소견으로 전립선암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전립선암을 진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PSA 수치가 낮다고 또한 안심해서는 안된다. 내가 본 전립선암환자중 가장 낮은 수치는 PSA가 2ng/ml이하에서도 발견된 것을 몇번 보아왔기 때문이다.

40세 이상이 되었는가? 전립선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좋겠다.


참고:
1. 2009년 미국비뇨기과학회 (AUA updates) : Prostate-specific antigen best practice statement
2. 한국 중앙암등록사업 23차 2002년도 보고서 요약발표
3. Song C, et al. Prostate cancer in Korean men exhibits poor differentiation and is adversely related to prognosis after radical prostatectomy. Urology 2006t;68:820-824.

Posted by 두빵
2009. 6. 4. 02:35

요새는 인터넷이 워낙 발달해서 말인데, 이전에는 상상도 못할 일을 많이 하게 된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같이 발전한 것중의 하나는 성에 대한 산업인데, 특히 노루표를 누구나 다운받아 볼 수있게 된 점은 좋다고 해야 할지....나쁘다고 해야할지....

그중에 항상 보면 여성의 사정 이야기가 나온다. 오잉? 여성의 사정이라니?
의학적으로는 여성의 사정은 절대 가능하지가 않다. 질액분비가 좀 넘쳐날 수 있어도 말이다. 질액이 좀 많으면 사정이라는 의미를 붙일 수는 있겠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여상사정은 대부분 보면 소변을 보는 것이다. 근데 아직까지는 거기에 나오는 여성이 그냥 쑈형식으로 가식적으로 소변을 보는 것인지, 요실금이 있는지는 확실하게 알기는 어렵지만,

                                         (from spiicytuna at flickr.com)

의학적으로 성관계때 소변을 보는 것에 대한 언급은 있다. 영어로는 coital urinary incontinence라는 말을 쓰는데, 즉 성관계때 소변이 새는 것, 다시 말하면 요실금이 있다는 말이다. 성관계때 요실금이 정말 있을까? 실제로 설문지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체여성들중 10%에서 27%정도에서 성관계 때 요실금 있다고 한다.

그럼 성관계때 요실금이 어떻게 발생할까? 이에 대해서 1988년에 최초로 언급한 것이 있는데, 두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첫번째는 성관계시 남성의 성기가 삽입될때 소변이 새는 것이다. 해부학적으로 질 바로 위에 방광이 붙어 있는데, 성관계를 할때 남성의 성기가 질상부를 누르게 되면 바로 옆에 있는 방광을 누르게 되어 소변이 샌다는 것이다.
조사해 보니 이런 경우는 기침이나 줄넘기, 웃을때 배에 힘이 들어가면서 소변이 새는 복압성요실금이 같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는 복압성요실금처럼 최근에 시행하는 요실금 수술방법(TVT, SPARC, TVT-O, TOT & TVT-SECUR) 등으로 치료하면 약 80%에서 치료를 할 수가 있다고 한다.

두번째는 여성이 오르가즘이 있을때 소변이 새는 것이다. 즉 오르가즘이 있으면 골반근육이 수축을 하게 되는데, 이때 같이 방광도 수축을 하게 되면서 소변이 샐 수 있다는 말이다. 아직까지 논란이 있는 이론이긴 하지만 G-spot이 있는 위치가 바로 방광의 신경이 많이 모여있는 방광의 기저(base)부분이고, 따라서 오르가즘이 있다면 G-spot도 같이 흥분하면서 방광의 기저부분을 통해서 방광 자체가 흥분되어 수축을 하여 소변이 샐수 있다. 이런 경우는 과민성방광 기전과 같기 때문에 과민성방광을 치료하는 약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오르가즘으로 소변이 샌다면 이것은 과민성방광증세가 아주 심한 경우로 생각되므로 약 60%정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요실금이라는 것이 은근히 사람을 피곤하게 만들긴 하지만, 특히 성관계시 요실금이 있다면 참 민망할 것이다. 그러나 앞서 이야기했는데, 그렇고 그런 노루표에서 여성 사정이라고 한답시고 소변을 뿌리는 장면은 글쎄....상업적인 것이 더 가미되지 않았을까?

하여간 간혹 요실금 수술을 받는 환자들중에는 성관계시 요실금이 없다고 좋아하는 사람들이 간혹 있어 보람을 느끼곤 한다.

참고 :
1. Serati M, et al. Female urinary incontinence during intercourse: a review on an understudied problem for women's sexuality. J Sex Med 2009;6:40-48
2. Serati M, et al. Urinary incontinence at orgasm: relation to detrusor overactivity and treatment efficacy. Eur Urol 2008;54:911-915


Posted by 두빵
2009. 5. 28. 08:05

며칠전에 보니 미국의 나사에서 우주인의 소변을 가공처리하여 다시 물로 만들어 먹는 소식이 있었다. 물이 귀한 우주에서 어쩔 수 없이 물을 얻기 위해 하는 것이긴 하지만, 알고 먹는다면...글쎄...그 맛이 어떨까 궁금하기만 하다.

이전에 나 어릴때도 항상 먹는 물은 수돗물을 끓여 만든 보리차였다. 어릴때 다니던 학교에서도 주번이 항상 끓인 보리차물을 큰 주전자에 구비해놓는 것이 하나의 일이었는데, 이제는 보기드문 추억이 되었다. 학교에서 운동하면서 더워서 수돗물을 벌컥 벌컥 마시던 모습도 이제는 하나의 기억으로 남았다.

집에서도 언제부터인가 생수라는 것이 등장하더만, 요새는 가정에 정수기 없는 집이 없는 것 같다. 그냥 수돗물을 마시면 웬지, 약간 찝찝한 느낌이랄까.....

요새는 하도 물이 어때야 한다는 둥 말들이 많다. 육각수니, 해양심층수이니, 혹은 이온수니 하면서 산성 및 알칼리 어쩌고 저쩌고 말들이 많은 것 같다. 글쎄  효능이 과연 있을까....

의사들이 항상 모르는 것이 있을때 찾아보는 pubmed에서 이에 대해서 찾아보려 했으나, 그런 물들이 과연 좋은지에 대해 전혀 자료를 찾을 수가 없었다. 오히려 일부 동물실험에서 알칼리 이온수가 더 해를 준다는 그런 연구결과만 몇개 있었다.

그럼 국제적인 기관에서 혹시 언급한 것은 있을까?
찾아보니 과연 있었다.

1980년부터 미네랄을 제거한 물에 대한 연구를 해온 WHO에서 발표한 것을 보면 미네랄을 제거한 물은 이뇨작용을 증가시키고, 체내 칼륨을 낮추게 한다고 한다. (우리몸에서 칼륨이 좀 낮다면 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과 칼슘이 우리몸의 영양부족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는데, 미네랄을 제거한다면 이런 마그네슘이나 칼슘이 같이 제거될 수가 있다. 게다가 미네랄이 제거된 물은 병원균 오염의 위험이 더 증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좋은 물로 추천되는 미네랄농도는 마그네슘이 20-30mg/L이고, 칼슘은 약 40-80mg/L정도이다. 마그네슘과 칼슘을 포한함 전체 미네랄 농도는 (water hardness) 약 2-4mmol/L정도가 가장 적당하다고 한다.

만일 전체 미네랄 농도가 5mmol/L이상을 초과한다고 하면, 이런 물을 먹는 사람에게서 담석, 요로결석과 함께 관절에 이상이 올 수도 있다.

요약하자면, 좋은 물은 미네랄이 너무 많아도 안되고, 너무 적어도 안되고, 적당히 있는 것이 좋겠다는 말이다. 물론 이 적당하다는 말이 더 어려운 말이 될 수도 있다.

언젠가 보니 우리집안에서 가장 병원균이 없는 곳중의 하나가 화장실 변기라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나 역시 동의하는 바이다. 화장실 변기가 더러운 것 같지만, 매번 다른 물로 순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병원균의 오염이 있어도 매번 깨끗해질 수 있다. 그러나 더 깨끗해지려고 사용하는 비데를 잘못 사용하게 되거나 관리를 해주지 않는다면 비데의 오염으로 인해서 오히려 사용하지 않는것보다 더 못할 것이다. 정수기나 생수 역시 마찬가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 어릴적에 다녔던 초등학교시절 주번이 매일아침 땔감과 함께 보리차물이 담긴 커다란 주전자를 들고와서 저 사진처럼 끓여서 먹던 기억이 있다. 가끔은 도시락 통을 올려 놓는 경우도 있었고, 도시락 통으로 라면도 먹은 경허도 있었는데, 지금 학교에서는 저런 추억은 없겠지? 출처 : from 김준영 at  Flicker)


개인적으로 가장 좋은 물은 수돗물을 끓여서 만든 보리차를 선호한다. 그냥 물에서 혹시 있을 수도 있는 병원균을 제거하기 위해 끓여서 먹는 것이다. 미네랄 보충을 원한다면 물로 하기 보다는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로 하는 것이 더 좋다. 물론 돈도 보리차를 사는 돈밖에 들지 않는다.

요새는 식당에서도 끓인 보리차물을 주기보다는 생수 및 정수기 물이나 어디서 가지고 왔다는 약수물을 주는 데가 대부분이다. 이전에는 가끔 식당에서 보리차로 만든 물을 줄때 항상 반갑고, 식당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는데, 요새 다녔던 식당들은 모두 생수나 정수기 물을 주었던 것 같아 한편으로는 씁쓸한 느낌이 있다.


참고
WHO  홈페이지 내의
1.
http://www.who.int/water_sanitation_health/dwq/nutdemineralized.pdf
2.
Health risks from drinking demineralised water
그리고 위키피디아
Posted by 두빵
2009. 5. 19. 07:59

이전보다는 많이 약해졌지만, 요즘도 아들선호사상은 꽤 되는 것 같다.

나의 어릴적 시절을 회상해보면 항상 무슨 명절때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등의 묘소를 찾아다니면서 들었던 어른들의 말씀은
"이렇게 찾아다녀서 봐야 너네들도 우리 산소를 지켜줄것 아니냐....."
우리집안은 선산이 없는 관계로 산소를 찾기도 힘들어 항상 헷갈리길래 우리할아버지 산소옆 병을 거꾸로 박아놓아 나중에 찾기 좋게 만들어놓았는데, 나중에 가서 보니 수풀이 우거져서 찾는데 애먹은 경우도 기억난다.

하여간 남아선호사상은 아마도 아들이 그래도 나의 제사를 지내줄것이라는 믿음.... 혹은 동양세계에서 뿌리깊은 문화(대를 이어야 한다는....)로 그리 쉽게 없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가끔은 그런 남아선호사상이 없었으면 내가 과연 이세상에 태어났을까...라는 질문도 간혹 해본다....^.^

그래서 그런지 아들 낳는 법....즉 성별선택임신에 대한 내용이 꽤 많이 돌아다닌다.
원래 남자는 유전적으로 44XY이고 여자는 44XX라는 것은 상식에 속한다. 유전적으로 잘 보면 Y가 하나 있던가, 아니면 X가 하나 더 있는지의 차이가 남자 여자를 가르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꽤 되었다. 정자 한마리가 X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Y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Y 염색체를 가진 정자만 골라낸다면 아들을 낳을 수가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간의 남자 염색체.... 오른쪽 귀퉁이에 보면 XY라고 있는데, X 염색체가 Y 염색체보다는 상대적으로 크다. 출처 : 위키피디아)

이런 생각으로 초기에 막투과법(membrane permeation)이라는 방식으로 Y라는 염색체를 가진 정자를 분리하여 토끼의 새끼의 성을 결정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이 그대로 했을때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아 곧 사라졌다.
이후 X와 Y 염색체를 가진 정자들사이에는 특별한 산(acid)과 염기(base)의 차이가 있다는 것과 서로 이온이나 전해질 차이가 있다는 것이 있었으나 다른 사람이 연구했을때는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아 사라졌다.

X와 Y의 염색체를 가진 정자가 서로 모양이 다를것이다라는 이론도 추후 연구결과에서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아 사라졌으며, X 염색체가 Y염색체보다 더 크므로 이에 대해서 원심분리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론도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아 사라졌다.

현재 인터넷으로 돌아다니는 가장 강력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는 방법으로는 Shettles method라는 방법이 있다. (사실 나도 처음 봤을때는 우와....상당히 설득력이 있구나...라는 생각을 했었다.)
이 shettles method는
"X라는 염색체를 가진 정자는 자궁에서 더 오래 생존해 있을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느리다.
Y라는 염색체를 가진 정자는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움직이지만, 자궁에서 빨리 죽는다."

라는 전제조건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여아를 임신하려면 Y염색체를 가진 정자가 자궁에서 생존하지 못하도록 배란일 2-3일전에 부부관계를 해야 하며, 오르가즘은 피해야 하며(오르가즘은 질을 알칼리로 만들어 산성을 좋아하는 X염색체를 가진 정자에게 별로 좋지 않다고 전제함), 깊게 사정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남아를 임신하려면 반대로 깊게 사정하여 Y 염색체를 가진 정자가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가능한한 배란일에 맞추어 부부관계를 하며 오르가즘을 느껴야 한다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실제로 1992년도에 발표된 결과를 보면 역학통계적으로도 배란전 2-3일전에 부부관계를 했을때 남아가 좀 더 잘 생기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참고문헌 2)

또한 1995년도에 미국에서 221명의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에 대한 실험을 해봤다. 총 192번의 임신을 했는데, 우선 배란전 6일이내에 부부관계시 임신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배란 전후의 부부생활에 대한 기간이 남아나 여아의 임신비율에 특별한 영향이 없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3)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문헌 3에 나오는 그림. 보면 배란일(0)일 2일전부터 시행한 부부관계가 임신이 잘 되는 것을 알 수가 있으며, 남녀 비는 부부관계와 배란일이 멀어도 차이가 없고 비슷하게 유지된다.)

또한 생각해 봐야 할 것이, 실제 부부생활에서 언제 배란이 되는지 알수가 없다. 여성의 월경주기는 계속 변하니까..... (물론 일부 안그런 분들도 있겠지만...)
또한 문제점은 Shettles method를 따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남아를 가지기 위해서는 오르가즘을 느껴야 하는데, 언제 오르가즘이라는 정의를 어떻게 내려야 하는지 ...글쎄....과연 가능할까..궁금하다.


현재 과학적으로 선택임신을 100%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PGD)라는 방법이 있다. 부모의 유전적인 질환을 아기가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정란의 일부세포를 떼어내어 염색체 검사를 하는 것이다. 이때 X 나 Y 염색체도 확인 가능하므로 여아 혹은 남아를 인공적으로 선택 할 수가 있다. 실제로 미국등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선택임신을 위해 이것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여러가지 윤리적인 문제가 있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다 보면 아들 낳는다는 의료기관부터 시작해서 비법, 까페등이 굉장히 많이 있다. 글쎄.....생각해 보면 아들을 낳을 확률은 자연적으로 절반정도 되므로 이에 대한 장사를 하기에는 너무 쉬을 것 같다.
그 되기 어렵다는 로또도 사람들이 꿈을 가지고 사는 현실인데, 자연적으로도 절반정도 확률이라면 동전놀이 하듯이 해도 절반의 확률을 가지고 있으므로 아들 낳기를 바라는 사람들 중 절반은 해결해 줄 수 있을테니까......



참고문헌:
1. Muhsam HV. The selection by parents of the sex of children - feasible but not practised. Genus 1994;50:197-203
2. France JT,et 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nceptual cycles occurring in a prospective study of sex preselection: fertility awareness symptoms, hormone levels, sperm survival, and pregnancy outcome.  Int J Fertil 1992;37:244-255
3. Wilcox AJ, et al. Timing of sexual intercourse in relation to ovulation.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conception, survival of the pregnancy, and sex of the baby. N Engl J Med 1995;333:1517-1521



Posted by 두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