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22. 21:45

요새 우리사회가 발전하면서 위생에 대한 개념이 많이 높아졌다. 덕분에 화장실 위생도 많이 좋아졌다. 그런데 남자들이 소변을 보고 난뒤에 바지를 올리면 요도안에 남아있던 소변이 흘러서 바지에 표시되어 난감한 경우를 경험하면, 더 열심히 소변보고 나서 뒷처리를 하는경우가 많다.

 

대부분은 아마도 음경끝을 손가락으로 잡고 흔들어서 남아있는 소변을 제거할려고 노력하는데, 문제는 이렇게 해도 요도 안에 남아있는 소변이 잘 안나오기도 하고, 조금 나온 소변이 화장실 주변에 다 튀어서 위생에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다. 공공시설의 화장실은 대부분 남성용 소변기인 유리널(urinal)이 설치되어 있지만, 가정집에 유리널(urinal)이 설치된 집은 아마도 거의 드물것이다. 보통 좌변기가 설치되어있는데 남자들이 소변 보고 나서 좌변기 주변으로 소변이 튀어서 위생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그럼 좌변기가 설치된 가정집에서는 남자들이 소변을 볼 때 뒷처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빨간색 동그라미부분의 요도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변을 본뒤에 여기에 소변이 일부 남을수 있다. 

남자들이 소변을 볼 때 다 본 것 같은데 나중에 바지를 올릴 때 소변이 주루륵 나오는 이유는 여자와는 달리 남자는 요도 길이가 길고 중간이 S자로 휘어져 있어서 중력의 영향으로 위 사진의 빨간 동그라미 친 부위에 일부 소변이 남는 경우가 있다. 이 남은 소변이 나중에 바지를 올릴 때 주루륵 나오는 것이다.

 

이것을 아무리 손으로 털어버릴려고 음경을 잡고 흔들어봤자 체크밸브 형식으로 요도가 구부러져서 안쪽에 있는 소변이 나오는 길을 막는다. 아래 사진상의 빨대모양처럼 음경을 손으로 잡고 흔들면 요도가 꺽이면서 뒤에 남을 수밖에 없다. 쎄게 흔들수록 요도가 구부러지면서 더 막히고 일부 나온 소변은 좌변기 주변으로 엄청 튀게 된다.

 

화장실을 깨끗하게 하면서 요도에 남은 소변을 그래도 다 제거하는 방법은 아래 동영상처럼 하면 된다. 즉 소변을 다 본뒤에 미리 준비한 화장지를 한손에 쥐어서 요도 앞에 대고, 다른손 손가락으로 음경의 뿌리부터 앞으로 쭉 짜주면 일부 소변이 나오는데 이것을 화장지로 처리하는 것이다. 몇번 해야지 깨끗하게 처리될것이다.

 

 

 

처음 몇번은 할 때 좀 힘들수 있지만 익숙해지면 이렇게 안하면 오히려 더 불안하다.

 

물론 소변본뒤에 소변이 많이 남아서 바지를 많이 적신다면 한번쯤은 가까운 비뇨의학과 가서 다른 문제가 있는지 검사를 한번 받아보는 것이 좋겠다.

 

Posted by 두빵
2021. 2. 21. 00:21

최근에 더치커피에서 오염균으로 알려져 있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가 많이 나와서 판매중단 뉴스가 있었다. 이 뉴스를 보니 대장균이 식약처의 허용기준이 1000 CFU/ml보다 14천배인 1400CFU/ml 가 검출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일단 두가지가 이상하지 않은가?

첫번째로는 오염균으로 알려져 있는 대장균이 하나도 없어야 하는데 왜 식약처 허용기준은 1000 CFU/ml 미만으로 되어 있는지?

두번째로는 왜 기준이 1, 10, 51, 932 등 이런 숫자가 아니라 1000 으로 딱 떨어지는지?

 

이건 우리가 먹는 음식의 오염균 검사의 방법적인 한계? 때문에 저런식으로 표시하는것으로 보인다. 의학에서도 소변검사를 할 때 더치커피의 오염균 검사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한다.

 

방광염등 소변에 염증이 있는지 확인을 위해서 하는 요배양검사(urine culture)를 보면,

 

 

우선 환자의 소변검체에서 루프를 사용하여 소변검체 일부를 추출하는데, 이때 채취되는 소변양이 약 0.001ml 로 되는 루프를 쓴다. (경우에 따라서는 0.01ml 루프도 있다.)

이후 0.001ml 소변이 묻은 루프를 세균배양을 하기 위한 배지 (보통은 동물의 혈액을 사용함) 에 문질러서 섭씨 35-37도에서 하루나 이틀정도 배양을 한뒤에 배양된 균의 수를 일일이 세는 방법으로 결과를 낸다.

 

 

위의 동그란 혈액배지(보통은 blood agar plate, BAP라고 함)에 세균이 자란 동그란 점을 colony forming unit, CFU 라고 이야기하는데, 보통은 이 점 하나는 균 하나에서 발생되어서 나온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타당할것이다.

그럼 0.001ml루프를 사용해서 문지른 혈액배지에 1개의 동그란 점이 생기면 1CFU 가 되고, 이건 0.001ml 에서 자란것이기 때문에 1ml11000을 곱한 1000CFU/ml가 되는것이다.

즉 혈액배지에 세균이 하나라도 자라면 소변에 최소한 1000CFU/ml 의 세균이 있다라고 이야기할수가 있는것이다.

 

만일 세균이 하나도 안자라서 0 CFU가 되었다면 0 CFU/ml 가 되는게 아니라 결과는 최소한 1000CFU/ml 미만으로 있다라고 하는 것이 과학적으로 말을 할 수가 있을것이다.

이런 이유로 아마도 식약처의 오염기준이 1000CFU/ml미만이라고 한 이유는 0.001ml 루프를 사용해서 배지에 문질렀을 때 균이 자라는 점이 하나도 안생기는 기준이 1000CFU/ml 이기 때문에 1000CFU/ml 미만이라고 하면 배지에 하나도 세균이 안자랐다는 의미가 된다.

 

추가로 방광염의 원인균이 대장균이라고 말을 할때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배지에 100개의 세균이 자란 100CFU 이상이어야 하고, 요배양검사 결과는 >100,000 CFU/ml 라고 표시하게 된다.

 

위의 내용이 이해가 된다면, 만일 배양검사할 때 0.01ml 루프를 사용한다면 세균이 배지에서 1CFU가 자랐다면 이 균의 결과는 100CFU/ml 가 된다.

 

어렵게 돌아왔는데, 요약하면 식약처의 허용기준이 1000CFU/ml 미만이라는건 0.001 루프를 사용해서 배지에 배양했는데 균이 하나도 안나온 경우를 이야기하는것이고, 14000000CFU/ml 라는건 그 배지에서 14000 의 세균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14000개를 어떻게 일일이 세었는지는 좀 궁금하다.)

Posted by 두빵